터미널에서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내용
리눅스를 제어하는 방법
1. CLI(commend line interface) : 명령어를 통해 제어
ex) ls -al : 현재 머물고 있는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
2. GUI(graphical user interface) : 아이콘 등과 같은 것으로 제어
*주의
명령은 실행하고 있는 현재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실행된다.
명령을 내릴 때 늘 자신이 어떤 디렉토리에 머물고 있는지 확인할 것!
기본적인 명령어를 익혀보자
ls :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와 디렉토리 목록을 출력하는 명령어
cf) ls -l 와 같이 뒤에 -l, -a 등이 올 수도 있는데 l, a와 같은 것들은 파라미터 또는 옵션이라고 한다.
-l : 파일의 리스트를 자세히 보여준다. 권한, 소유자, 파일의 용량, 생성시간이 표시된다.
제일 앞에 d가 있으면 directory이고 아니면 파일이다.
pwd : 현재 위치하고 있는 디렉토리를 알려주는 명령어
mkdir(make directory) (mkdir 새로 생성할 디렉토리명) : 새로운 디렉토리 생성하는 명령어
파일과 디렉토리 다루는 방법
cd(change directory) : ‘디렉토리를 들어간다’, ‘디렉토리를 바꾼다’
[cd 이동할 디렉토리의 경로명] : 작성한 경로명으로 이동한다.
tip.
파일이나 디렉토리명을 다 입력하기 힘드니까
앞부분만 입력하고 tab키를 누르면 자동으로 나머지 텍스트가 완성된다.
부모 디렉토리로 가는 방법
1. [ cd 디렉토리의 경로명 ] 을 이용한다. (절대경로)
- 디렉토리의 경로명 이 현재 위치에 상관없이 절대적으로 고정되어 있다.
2. [ cd .. ] 을 이용한다 (상대경로)
- 디렉토리의 경로명 이 현재 위치에 따라 상대적으로 변한다.
-> pwd로 확인해보면 ubuntu 디렉토리로 이동한 것을 알 수 있다.
tip.
. 현재 디렉토리 의미
.. 은 현재 머물고 있는 디렉토리의 부모 디렉토리를 의미
/ 최상위 디렉토리(루트 디렉토리라고 부름)
ex) cd / 는 최상위 디렉토리로 이동한다는 뜻
rm(remove)(rm 파일명) :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제거할 때 사용
[rm -r 디렉토리명] : recursive 재귀적이라는 뜻, 연쇄적으로 안에 있는 것부터 순차적으로 제거
디렉토리 밑에 중요한 파일이 있을 수 있기에 -r은 굉장히 무서운 파라미터이다.
--help : 명령어 뒤에 --help를 붙이면 명령의 사용설명서가 출력된다.
ex)
ls –help : ls에 대한 도움말이 출력된다
rm --help
mkdir --help
pwd --help
https://opentutorials.org/course/1
생활코딩
hello world 생활코딩의 세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. 생활코딩은 일반인들에게 프로그래밍을 알려주는 무료 온라인, 오프라인 수업입니다.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를 생각해보기 전에 왜 프로그
opentutorials.org
생활코딩 linux 강의를 바탕으로 강의노트 정리를 하였습니다.
'Programming > 운영체제 &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6. 패키지 매니저 (0) | 2020.08.07 |
---|---|
[Linux] 5. 파일편집(nano) (0) | 2020.08.03 |
[Linux] 4. sudo (0) | 2020.08.03 |
[Linux] 3. 필요한 명령을 검색으로 찾는 법(Feat. Google) (0) | 2020.08.03 |
[Linux] 2. --help와 man (0) | 2020.08.03 |